티스토리 뷰
앞으로 금리 상승이 상당 부분 이어질 것 같습니다.
우선 미국 금리 인상이 거의 예정되어 있는데요,
사실 이번에 미국 대통령 선거 때문에 금리 인상이 미루어졌지, 원래 미국 경제 상황을 보면 인플레이션이 서서이 오르고 실업률이 내리는 등, 전반적인 경제 상황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원래 2016년 2 ~ 3 차례 정도의 금리 인상을 할 예정이었는데, 정치적인 이유(대통령 선거)로 인하여 금리 인상이 미루어졌던 것이죠.
물론 미국이 금리 인상을 무척 급격하게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세계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물론이고, 미국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테니까요.
문제는 아무리 완곡하게 금리 인상을 한다고 하더라도, 금리인상은 금리인상이라는 점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그동안 굉장히 '비정상적인 상황'이었습니다.
예를 들면, 정책금리가 1.25%인데, 지난 9일 10년물 금리가 겨우 1.67%였습니다.
10년이라는 긴 기간이 주는 불확실성이 겨우 이자 혜택 0.4%에 불과한 것이죠.
이 만큼 우리나라는 정책금리는 굉장히 낮았고, 시장금리는 더 비정상적으로 낮았습니다.
따라서, 미국 금리가 상승하면 우리 역시 정책금리가 따라올라가고, 이때 시장 금리 역시 무섭게 올라가지 않을까 우려가 되네요.
금리의 급격한 인상은,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부동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수많은 전문가들이 부인하지 못하는 것처럼, 현재 한국의 부동산 시장은 유동성으로 떠받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정부가 빚내서 집을 사라고 부추긴 결과이죠.
이런 상황에서 급격한 금리인상, 혹은 금리 인상폭의 확대는, 수많은 깡통 아파트와 주택을 생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빚을 내어서 집을 산 사람들이 이자를 갚지 못해서 부동산이 경매에 넘어가는, 최악의 상황이죠.
정부에서는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하는데,
지난 몇년간 경기를 떠받치기 위하여 너무 부동산에 올인을 했네요.
게다가 가계 부채가 사상 최대이고, 증가 폭 역시 너무가 가파릅니다.
내우외환이란 말은 이럴 때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은 무엇일까요?
우선, 빚부터 빨리 갚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자가 상승할 것이라는 미래 전망이 뻔히 보이는데,
계속 빚을 갖고 있는다는 것은,
앞으로 이자를 훨씬 더 많이 내겠다는 말이나 진배가 없죠.
어서 빨리 부채를 갚고, 빚 규모를 줄이는 수술부터 해야 합니다.
또한, 수익성이 낮은 부동산의 경우는 빨리 팔아서 미래를 대비해야 하고요.
이것은 부동산을 어느 정도 가진 중산층의 이야기이고,
하루 벌어서 하루 먹고 사는 서민층의 이야기는 좀 다르죠.
서민층의 경우는 일단 직업이 제일 중요합니다.
직업을 갖고 있다면, 어떻게든 먹고 사는 방법이 마련되니까요.
그외에 직업을 잃거나 혹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정책 자금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몇년전 세모녀 사건과 같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는 서민층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에서는 이들 서민층에 대한 '긴급 자금 지원책'을 마련했습니다.
최후의 순간에는 이런 정책 자금이나, 혹은 각 시도별로 구성된 서민 지원 단체 등에 구원을 요청하는 것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의 imf 대처방법 (0) | 2016.11.24 |
---|---|
저축성보험 비과세는 고소득자만 유리 (0) | 2016.11.24 |
미국 TPP 탈퇴 한국 영향 (0) | 2016.11.23 |
한국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 세계 1위 (0) | 2016.11.23 |
브렉시트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0) | 2016.11.23 |
샤이 박근혜 뜻 (0) | 2016.11.22 |
식료품 손님 줄고 지출 하락 (0) | 2016.11.22 |
대우조선해양 소난골 대금과 한진해운 (0) | 2016.11.22 |
트럼프 방위비 인상에 한국 반응 (0) | 2016.11.22 |
중국 기술 양자통신망 개통 (0) | 2016.11.21 |